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뒷골이 땡기는 이유 후두신경통 고혈압 거북목 뇌출형 일자목 긴장성 두통

반응형

 

뒷골이 땡기는 이유 후두신경통 고혈압, 긴장성 두통 거북목 일자목 뇌출혈

일상생활을 하던 중 갑자기 뒷골이 당기고 머리가 아파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뒷골 당김과 두통이 발생하면 통증으로 인해서 불쾌감이 들고 일생생활을 이어나가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뒷골 당김은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혈압이 상승해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뇌졸중의 전조증상일 수도 있어서 뒷골이 당기는 증상이 자주 발생한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뒷골이 당기는 다양한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뒷골이 땡기는 이유 

1. 후두신경통

후두 신경은 머리의 후두부와 목 뒤쪽으로 이어지는 신경을 말합니다. 후두 신경이 종양에 의해서 압박되거나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 흔히 뒷골이라고 부르는 머리 뒷부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딱딱한 베개를 베고 너무 오랫동안 누워있는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후두신경통이 생기기도 합니다. 


후두신경통에서 두통의 양상은 지속적인 뒷골의 통증이 아닌 간격을 두고 바늘로 찌르는 듯한 찌릿한 심한 통증이 하루에 몇 번씩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뒷골에 감각이 무뎌지고 통증이 눈앞으로까지 전파되어 일시적으로 시력의 이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통증으로 인해 베개를 베고 누워있는 것이 힘들기도 합니다. 

 

 



후두신경통이 지속되는 경우 후두신경통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 해결하여야 하며, 후두 신경의 압박에 의해서 통증이 발생하면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는 신경감압술을 시행하거나 주사를 이용하여 후두 신경을 차단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만드는 신경차단술을 시행하여 치료합니다. 

 



2. 고혈압

혈압이 갑작스럽게 상승하는 경우 뒷골에서 당김이 나타납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다가, 소리를 지르다가, 화가 나거나 하는 경우 흔히 뒷골 당김을 느낄 수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혈압의 발생률이 증가하여 고혈압으로 인한 뒷골 당김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축기 혈압의 정상 범위는 90~140mmHg이나 그 이상 증가하여 보통 180mmHg를 초과하는 경우부터 뒷골 당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고혈압은 뇌출혈 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혈압을 상승시키는 행위는 피하고, 혈압 상승으로 인해 뒷골 당김이 나타났다면 안정을 취해 혈압이 내려가도록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3. 긴장성 두통

스트레스나 과로 등은 근육 긴장을 유발하고 근육을 뭉치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묵직한 두통과 뒷골 당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흔히 오전보다는 오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수면을 취한 후 일어나면 완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사지나 근육 이완제의 복용, 추나 치료, 온찜질 등도 긴장성 두통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거북목, 일자목

정상적인 목은 커브가 뒤로 살짝 기울어져 c자의 형태를 보입니다. 거북목은 반대로 앞으로 기울어져 역c자를 보이며 일자목은 굴곡이 없고 경추가 직선으로 관찰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북목과 일자목은 경추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경추 디스크의 원인이 되며 경추의 통증으로 인해 두통과 뒷골 당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북목과 일자목으로 인해 뒷골 당김이나 두통이 발생하면 경추의 교정이 필요하며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뇌출혈

뇌혈관이 손상되어 뇌출혈이 발생하는 경우 갑작스럽게 뒷골이 당기면서 참을 수 없을 정도의 심한 두통이 발생됩니다. 

뇌출혈로 인한 통증의 경우 언어장애, 신체 일부의 마비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뇌출혈은 예방이 아주 중요하며 이미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므로 빠른 치료가 요구됩니다. 

건강검진에서 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게 나온 경우 뇌출혈 및 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 평소 생활습관 및 식습관을 교정하는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